세리에 A 2011-1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리에 A 2011-12 시즌은 2011년 8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유벤투스가 무패 우승을 차지했다. AC 밀란은 준우승을, 우디네세는 3위를 기록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는 28골로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안드레아 피를로는 13개의 도움으로 최다 도움 선수가 되었다.
2. 시즌
2. 1. 소식
2011년 6월 30일, 세리에 A 시즌의 공인구 "나이키 세이티로"가 공개되었으며, 이전보다 안정성, 정교성, 시인성이 향상되었다.[68] 새 공인구는 2011년 8월 6일 베이징에서 밀란이 인테르를 상대로 우승을 거둔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경기에서 첫 선을 보였다. 다른 프로 리그와 마찬가지로 해트트릭을 기록한 세리에 A 선수에게는 공인구가 수여되며, 첫 수상자는 3라운드에 밀란을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한 나폴리의 에딘손 카바니 선수다.[70]
26년 동안 유럽 축구계 정상에 있던 이탈리아는 독일에게 추월당하여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직행 진출권을 잃었다.[71] 이에 따라 상위 두 구단만 본선에 직행하고, 3위 구단은 예선을 거치게 되었다. 4, 5위 구단은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과 함께 UEFA 유로파리그에 참가하며,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이 이미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권을 얻은 경우에는 6위 구단이 진출권을 얻는다. 이번 시즌은 여섯 시즌 연속으로 최종 순위가 순위 결정법으로 정해졌다.[72]
이번 110회 대회에는 지난 시즌 세리에 B로 강등된 바리, 브레시아, 삼프도리아를 대신하여, 아탈란타와 시에나가 한 시즌 만에 돌아왔으며, 노바라는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55년 만에 최상위 리그에 복귀했다.[73] 아탈란타는 칼초 콤메세 스캔들에 크리스티아노 도니가 연루된 혐의로 승점 6점 감점과 함께 시즌을 시작했다.[74]
스타디오 디노 마누치에서 열린 체세나와 나폴리의 2라운드 경기는 세리에 A 역사상 최초로 인조잔디에서 열린 경기였다. AIC의 파업으로 인한 연기가 없었다면, 1라운드에 스타디오 실비오 피올리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노바라와 팔레르모의 경기가 최초가 될 뻔했다.[75][76] 유벤투스는 이번 시즌부터 토리노의 새 구장에서 경기를 가진다.[77] 4월부터 스타디오 산텔리아 사용이 불가능하여[78] 트리에스테 소재의 스타디오 네레오 로코에서 경기를 가진다.[79]
15라운드에 열린 로마와 유벤투스의 경기는 세리에 A 역사상 최초로 3D로 중계됐다.[80] 이탈리아 리라 통화 유통 종료 10주년 기념으로, 25라운드 경기에서 심판은 "카라벨레"(Caravelleit)판 500 이탈리아 리라 동전을 가지고 동전 던지기를 했다.[81]
레가 세리에 A의 요청으로 축구 연맹 평의회는 비 EU 선수 영입 제한 수를 2명으로 복귀시켰다.[82] 이는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부진한 성적을 거둔 후, 클럽의 비EU 선수 영입을 1명으로 제한했던 이전 결정과는 반대되는 조치였다.
2. 2. 참가 구단

세리에 A 2011-12 시즌에는 총 20개의 구단이 참가했는데, 이들은 2010-11 시즌의 상위 17개 팀과 세리에 B에서 승격된 세 팀으로 구성되었다. 나폴리는 스타디오 산 파올로를, 라치오와 로마는 스타디오 올림피코를, 밀란과 인테르는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를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노바라는 스타디오 실비오 피올라에서, 레체는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에서 경기를 치렀다.[83] 유벤투스는 유벤투스 스타디움을, 제노아는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마라시)를 사용했다.
2011-12 시즌 세리에 A에 참가한 구단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팀 | 홈 도시 | 경기장 | 2010–11 시즌 |
|---|---|---|---|
| 나폴리 | 나폴리 | 스타디오 산 파올로 | |
| 노바라 | 노바 | 스타디오 실비오 피올라 | [83] |
| 라치오 |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 |
| 레체 | 레체 |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 |
| 로마 |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 |
| 밀란 |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 | |
| 볼로냐 | 볼로냐 | 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 |
| 시에나 | 시에나 |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 몬테파스키 아레나 | |
| 아탈란타 | 베르가모 | 스타디오 아틀레티 아추리 디탈리아 | |
| 우디네세 | 우디네 | 스타디오 프리울리 | |
| 유벤투스 | 토리노 | 유벤투스 스타디움 | |
| 인테르 |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산 시로) | |
| 제노아 | 제노바 |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마라시) | |
| 체세나 | 체세나 | 스타디오 디노 마누치 (라 피오리타) | |
| 카타니아 | 카타니아 |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치발리) | |
| 칼리아리 | 칼리아리 | 스타디오 산텔리아[84] | |
| 키에보 | 베로나 |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 |
| 파르마 | 파르마 |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 | |
| 팔레르모 | 팔레르모 |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라 파보리타) | |
| 피오렌티나 | 피렌체 |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
2011년 7월 27일 밀라노에 위치한 Interactive Group TV 스튜디오에서 대진 추첨이 열렸다.[107] 1라운드 경기는 이탈리아 축구인 협회의 파업으로 인해 연기되어,[65] 2011년 12월 21일에 열렸다.[67]
wikitext
3. 리그 순위
순위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참가 자격 및 강등 1 유벤투스 38 23 15 0 68 20 +48 84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 2 밀란 38 24 8 6 74 33 +41 80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 3 우디네세 38 18 10 10 52 35 +17 64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4 라치오 38 18 8 12 56 47 +9 62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5 나폴리 38 16 13 9 66 46 +20 61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진출 6 인테르 38 17 7 14 58 55 +3 58 유로파리그 3차 예선 진출 7 로마 38 16 8 14 60 54 +6 56 8 파르마 38 15 11 12 54 53 +1 56 9 볼로냐 38 13 12 13 41 43 -2 51 10 키에보 38 12 13 13 35 45 -10 49 11 카타니아 38 11 15 12 47 52 -5 48 12 아탈란타 38 13 13 12 41 43 -2 46 13 피오렌티나 38 11 13 14 37 43 -6 46 14 시에나 38 11 11 16 45 45 0 44 15 칼리아리 38 10 13 15 37 46 -9 43 16 팔레르모 38 11 10 17 52 62 -10 43 17 제노아 38 11 9 18 50 69 -19 42 18 레체 38 8 12 18 40 56 -16 36 세리에 C1로 강등 19 노바라 38 7 11 20 35 65 -30 32 세리에 B로 강등 20 체세나 38 4 10 24 24 60 -36 22 세리에 B로 강등
4. 경기 결과
{| class=nowrap style="width:100%; border-collapse:collapse; font-size:85%; text-align:center"
|style="padding:0"|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1라운드) 대진 1 홈 (20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2월 21일[67] 6-1 나폴리-제노아 2-3 1월 29일 2-2 노바라-팔레르모 0-2 0-0 라치오-키에보 3-0 0-2 볼로냐-로마 1-1 0-0 시에나-피오렌티나 1-2 4-1 아탈란타-체세나 1-0 0-0 우디네세-유벤투스 1-2 4-1 인테르-레체 0-1 0-2 칼리아리-밀란 0-3 3-3 파르마-카타니아 1-1
| width=50% valign=top |홈 (2라운드) 대진 2 홈 (21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9월 11일 0-2 레체-우디네세 1-2 2월 1일 1-2 로마-칼리아리 2-4 2-2 밀란-라치오 0-2 4-1 유벤투스-파르마 0-0 2-2 제노아-아탈란타 0-1 1-3 체세나-나폴리 0-0 0-0 카타니아-시에나 1-0 2-2 키에보-노바라 2-1 4-3 팔레르모-인테르 4-4 2-0 피오렌티나-볼로냐 0-2
|}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3라운드) 대진 3 홈 (22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9월 18일 3-1 나폴리-밀란 0-0 2월 5일 1-2 라치오-제노아 2-3 0-2 볼로냐-레체 0-0 0-1 시에나-유벤투스 0-0 1-0 아탈란타-팔레르모 1-2 2-0 우디네세-피오렌티나 2-3 0-0 인테르-로마 0-4 1-0 카타니아-체세나 0-0 2-1 칼리아리-노바라 0-0 2-1 파르마-키에보 2-1
| width=50% valign=top |홈 (4라운드) 대진 4 홈 (23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9월 21일 3-1 노바라-인테르 1-0 2월 12일 1-2 레체-아탈란타 0-0 1-1 로마-시에나 0-1 1-1 밀란-우디네세 2-1 1-1 유벤투스-볼로냐 1-1 3-0 제노아-카타니아 0-4 1-2 체세나-라치오 2-3 1-0 키에보-나폴리 0-2 3-2 팔레르모-칼리아리 1-2 3-0 피오렌티나-파르마 2-2
|}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5라운드) 대진 5 홈 (24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9월 25일 0-0 나폴리-피오렌티나 3-0 2월 19일 0-0 라치오-팔레르모 1-5 1-0 밀란-체세나 3-1 1-3 볼로냐-인테르 3-0 3-0 시에나-레체 1-4 2-1 아탈란타-노바라 0-0 1-1 카타니아-유벤투스 1-3 0-0 칼리아리-우디네세 0-0 2-1 키에보-제노아 1-0 0-1 파르마-로마 0-1
| width=50% valign=top |홈 (6라운드) 대진 6 홈 (25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0월 2일 3-3 노바라-카타니아 1-3 2월 26일 0-2 레체-칼리아리 2-1 3-1 로마-아탈란타 1-4 2-0 우디네세-볼로냐 3-1 2-0 유벤투스-밀란 1-1 0-3 인테르-나폴리 0-1 0-0 체세나-키에보 0-1 3-1 파르마-제노아 2-2 2-0 팔레르모-시에나 1-4 1-2 피오렌티나-라치오 0-1
|}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7라운드) 대진 7 홈 (26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0월 16일 1-2 나폴리-파르마 2-1 3월 4일 0-2 노바라-볼로냐 0-1[110] 2-1 라치오-로마 2-1 3-0 밀란-팔레르모 4-0 0-0 아탈란타-우디네세 0-0 0-0 제노아-레체 2-2 0-0 체세나-피오렌티나 0-2 2-1 카타니아-인테르 2-2 0-0 칼리아리-시에나 0-3 0-0 키에보-유벤투스 1-1
| width=50% valign=top |홈 (8라운드) 대진 8 홈 (27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0월 23일 3-4 레체-밀란 0-2 3월 11일 1-0 로마-팔레르모 1-0 0-2 볼로냐-라치오 3-1 2-0 시에나-체세나 2-0 3-0 우디네세-노바라 0-1 2-2 유벤투스-제노아 0-0 1-0 인테르-키에보 2-0 0-0 칼리아리-나폴리 3-6 1-2 파르마-아탈란타 1-1 2-2 피오렌티나-카타니아 0-1
|}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9라운드) 대진 9 홈 (28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0월 26일 2-0 나폴리-우디네세 2-2 3월 18일 1-1 노바라-시에나 2-0 1-1 라치오-카타니아 0-1 4-1 밀란-파르마 2-0 1-1 아탈란타-인테르 0-0 2-1 유벤투스-피오렌티나 5-0 2-1 제노아-로마 0-1 1-1 체세나-칼리아리 0-3 0-1 키에보-볼로냐 2-2 2-0 팔레르모-레체 1-1
| width=50% valign=top |홈 (10라운드) 대진 10 홈 (29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0월 30일 1-1 레체-노바라 0-0 3월 25일 2-3 로마-밀란 1-2 3-1 볼로냐-아탈란타 0-2 4-1 시에나-키에보 1-1 1-0 우디네세-팔레르모 1-1 1-2 인테르-유벤투스 0-2 2-1 카타니아-나폴리 2-2 0-3 칼리아리-라치오 0-1 2-0 파르마-체세나 2-2 1-0 피오렌티나-제노아 2-2
|}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11라운드) 대진 11 홈 (30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1월 6일 3-3 나폴리-유벤투스 0-3 4월 1일 0-2 노바라-로마 2-5 1-0 라치오-파르마 1-3 4-0 밀란-카타니아 1-1 1-0 아탈란타-칼리아리 0-2 2-1 우디네세-시에나 0-1 12월 13일 0-1[111] 제노아-인테르 4-5 11월 6일 0-1 체세나-레체 0-0 1-0 키에보-피오렌티나 2-1 3-1 팔레르모-볼로냐 3-1
| width=50% valign=top |홈 (12라운드) 대진 12 홈 (31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1월 20일 0-0 나폴리-라치오 1-3 4월 7일 2-1 로마-레체 2-4 0-1 볼로냐-체세나 0-0 2-2 시에나-아탈란타 2-1 3-0 유벤투스-팔레르모 2-0 2-1 인테르-칼리아리 2-2 1-0 제노아-노바라 1-1 1-2 카타니아-키에보 2-3 2-0 파르마-우디네세 1-3 0-0 피오렌티나-밀란 2-1
|}
{| width=100%
| width=50% valign=top |홈 (13라운드) 대진 13 홈 (32라운드)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 11월 27일 2-1 노바라-파르마 0-2 4월 11일 0-1 라치오-유벤투스 1-2 0-1 레체-카타니아 2-1 4-0 밀란-키에보 1-0 0-1 시에나-인테르 1-2 1-1 아탈란타-나폴리 3-1 2-0 우디네세-로마 1-3 2-0 체세나-제노아 1-1 1-1 칼리아리-볼로냐 0-1 2-0 팔레르모-피오렌티나 0-0
| width=50% valign=top |
{|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1 width=99%
| bgcolor=#90c0ff colspan=2 |'''홈 (14라운드)'''
| bgcolor=#d3d3d3 |'''대진 14'''
| bgcolor=#90c0ff colspan=2 |'''홈 (33라운드)'''
|-
!width=12% |
!width=10% |
!width=56% |
!width=10% |
!width=12%
5. 기록 및 통계
순위 선수 소속 클럽 득점 1 즈라탄 이브라히모비치 밀란 28 2 디에고 밀리토 인테르 24 3 에딘손 카바니 나폴리 23 안토니오 디 나탈레 우디네세 5 로드리고 팔라시오 제노아 19 6 헤르만 데니스 아탈란타 16 파브리치오 미콜리 팔레르모 8 세바스티안 조빈코 파르마 15 9 스테반 요베티치 피오렌티나 14 10 미로슬라프 클로제 라치오 13
| 순위 | 도움 | 선수 | 소속팀 |
|---|---|---|---|
| 1 | 13 | 안드레아 피를로 | 유벤투스 |
| 2 | 12 | 파브리치오 미콜리 | 팔레르모 |
| 3 | 11 | 세바스티안 조빈코 | 파르마 |
| 4 | 10 | 파블로 아르메로 | 우디네세 |
| 4 | 10 | 안토니오 카사노 | 밀란 |
| 6 | 9 | 마레크 함시크 | 나폴리 |
| 6 | 9 | 호비뉴 | 밀란 |
| 8 | 8 | 미랄렘 퍄니치 | 로마 |
| 8 | 8 | 미르코 부치니치 | 유벤투스 |
| 10 | 7 | 안토니오 디 나탈레 | 우디네세 |
| 10 | 7 | 프란체스코 로디 | 카타니아 |
| 10 | 7 | 세르조 펠리시에르 | 키에보 |
| 10 | 7 | 후안 마누엘 바르가스 | 피오렌티나 |
| 10 | 7 | 프란체스코 토티 | 로마 |
| 15 | 6 | 알베르토 아퀼라니 | 밀란 |
| 15 | 6 | 마르코 디 바이오 | 볼로냐 |
| 15 | 6 | 알베르토 질라르디노 | 제노아 |
| 15 | 6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밀란 |
| 15 | 6 | 알레산드로 디아만티 | 볼로냐 |
| 15 | 6 | 지브릴 시세 | 라치오 |
| 15 | 6 | 에리크 라멜라 | 로마 |
'''해트트릭'''
| 선수 | 소속 | 상대팀 | 결과 | 날짜 |
|---|---|---|---|---|
| 에딘손 카바니 | 나폴리 | 밀란 | 3-1 | 2011년 9월 18일 |
| 케빈프린스 보아텡 | 밀란 | 레체 | 4-3 | 2011년 10월 23일 |
| 안토니오 노체리노 | 밀란 | 파르마 | 4-1 | 2011년 10월 26일 |
| 디에고 밀리토4 | 인테르 | 팔레르모 | 4-4 | 2012년 2월 1일 |
| 파브리치오 미콜리 | 팔레르모 | 인테르 | 4-4 | 2012년 2월 1일 |
| 헤르만 데니스 | 아탈란타 | 로마 | 4-1 | 2012년 2월 26일 |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밀란 | 팔레르모 | 4-0 | 2012년 3월 3일 |
| 호아킨 라리베이 | 칼리아리 | 나폴리 | 3-6 | 2012년 3월 9일 |
| 마우리시오 피니야 | 칼리아리 | 체세나 | 3-0 | 2012년 3월 18일 |
| 디에고 밀리토 | 인테르 | 제노아 | 5-4 | 2012년 4월 1일 |
| 디에고 밀리토 | 인테르 | 밀란 | 4-2 | 2012년 5월 6일 |
| 파브리치오 미콜리 | 팔레르모 | 키에보 | 4-4 | 2012년 5월 6일 |
| 마르코 리고니 | 노바라 | 체세나 | 3-0 | 2012년 5월 6일 |
- 4 한 경기에서 4골을 기록함.
5. 1. 개인 기록
2011-12 시즌 세리에 A의 개인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클럽 | 골[61] |
|---|---|---|---|
| 1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밀란 | 28 |
| 2 | 디에고 밀리토 | 인테르나치오날레 | 24 |
| 3 | 에딘손 카바니 | 나폴리 | 23 |
| 안토니오 디 나탈레 | 우디네세 | ||
| 5 | 로드리고 팔라시오 | 제노아 | 19 |
| 6 | 헤르만 데니스 | 아탈란타 | 16 |
| 파브리치오 미콜리 | 팔레르모 | ||
| 8 | 세바스티안 조빈코 | 파르마 | 15 |
| 9 | 스테반 요베티치 | 피오렌티나 | 14 |
| 10 | 미로슬라프 클로제 | 라치오 | 12 |
| 마티아 데스트로 | 시에나 |
- '''최다 득점 선수''':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밀란, 28골)
| width=10| | 도움 | 선수명 | 소속팀 | ||||||||||||||||||||||||||||||||||||||||||||||||||||||||||||||||||||||
|---|---|---|---|---|---|---|---|---|---|---|---|---|---|---|---|---|---|---|---|---|---|---|---|---|---|---|---|---|---|---|---|---|---|---|---|---|---|---|---|---|---|---|---|---|---|---|---|---|---|---|---|---|---|---|---|---|---|---|---|---|---|---|---|---|---|---|---|---|---|---|---|---|---|
| 15px | 13 | 안드레아 피를로 | 유벤투스 | ||||||||||||||||||||||||||||||||||||||||||||||||||||||||||||||||||||||
| align=center| | 12 | 파브리치오 미콜리 | |PAL}}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11 | 세바스티안 조빈코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10 | 파블로 아르메로 |}|명칭1=우디네세|연도1=1896|명칭2=우디네|연도2=1911|명칭3=우디네세|연도3=1919 |공식명칭=우디네세 칼초|문양=600px Colori di Udine.png |팀국적=ITA |축약=}|UDI}} |oc=}|} }}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안토니오 카사노 |} |명칭1=밀란|연도1=1899|명칭2=밀라노|연도2=1938|명칭3=밀란|연도3=1945 |공식명칭=AC 밀란 |문양=600px Bianco e Rosso (Croce) e Rosso e Nero (Strisce).svg |팀국적=ITA |축약=}|MIL}}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9 | 마레크 함시크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 | 호비뉴 |} |명칭1=밀란|연도1=1899|명칭2=밀라노|연도2=1938|명칭3=밀란|연도3=1945 |공식명칭=AC 밀란 |문양=600px Bianco e Rosso (Croce) e Rosso e Nero (Strisce).svg |팀국적=ITA |축약=}|MIL}} |oc=}|} }}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8 | 미랄렘 퍄니치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미르코 부치니치 |} |명칭1=유벤투스|연도1=1897|명칭2=유벤투스 치시탈리아|연도2=1944|명칭3=유벤투스|연도3=1945|공식명칭=유벤투스 FC|문양=600px Bianconera con stelle e stemma di Torino.png|팀국적=ITA |축약=}|JUV}}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7 | 안토니오 디 나탈레 |}|명칭1=우디네세|연도1=1896|명칭2=우디네|연도2=1911|명칭3=우디네세|연도3=1919 |공식명칭=우디네세 칼초|문양=600px Colori di Udine.png |팀국적=ITA |축약=}|UDI}}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 | 프란체스코 로디 |}|CTN}}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 | 세르조 펠리시에르 |} |명칭1=키에보|연도1=1929|명칭2=카르디 키에보|연도2=1960|명칭3=키에보|연도3=1975|명칭4=팔루아니 키에보|연도4=1981|명칭5=키에보|연도5=1986 |공식명칭=AC 키에보베로나 |문양=600px Giallo e Blu (Bordato).png|팀국적=ITA |축약=}|CHV}}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 | 후안 마누엘 바르가스 |} |연도1 = 1926 |명칭1 = 피오렌티나 |연도2 = 2002 |명칭2 = 피오렌티나 비올라 |연도3 = 2003 |명칭3 = 피오렌티나 |공식명칭=ACF 피오렌티나 |문양=600px Viola con giglio Rosso su sfondo Bianco.png|팀국적=ITA |축약=}|FIO}} |oc=}|} }} }}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align=center| | 프란체스코 토티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6 | 알베르토 아퀼라니 |} |명칭1=밀란|연도1=1899|명칭2=밀라노|연도2=1938|명칭3=밀란|연도3=1945 |공식명칭=AC 밀란 |문양=600px Bianco e Rosso (Croce) e Rosso e Nero (Strisce).svg |팀국적=ITA |축약=}|MIL}} |oc=}|} }}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마르코 디 바이오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알베르토 질라르디노 |} |명칭1=제노아|연도1=1893|명칭2=제노바 1893|연도2=1928|명칭3=제노아|연도3=1945 |공식명칭=제노아 CFC |문양=600px Rosso e Blu con striscia Bianco e croce Rossa su sfondo Bianco.png |팀국적=ITA |축약=}|GEN}} |oc=}|} }}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명칭1=밀란|연도1=1899|명칭2=밀라노|연도2=1938|명칭3=밀란|연도3=1945 |공식명칭=AC 밀란 |문양=600px Bianco e Rosso (Croce) e Rosso e Nero (Strisce).svg |팀국적=ITA |축약=}|MIL}} |oc=}|} }}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알레산드로 디아만티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지브릴 시세 | |- style="background:#F5F5F5;" |align=center| |align=center| | 에리크 아멜라 | |- style="background:#98A1B2;" ||||||||| |} '''해트트릭'''
5. 2. 기타참조
[1]
웹사이트
Italian Serie A Statistics
https://web.archive.[...]
ESPNsoccernet
2012-05-19
|